자본 높이기 (43) 썸네일형 리스트형 변동성완화장치(VI)의 종류(정적VI & 동적VI) 변동성완화장치 VI(Volatility Interruption) 주식 가격은 주식을 사려는 매수세와 주식을 팔려는 매도세의 힘겨루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회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호재와 악영향을 끼치는 악재에 의해서 주식 가격은 크게 요동친다. 급격한 주식 가격의 변동이 발생하면 거래를 잠시 멈추게 하여 투자자들의 심리를 진정시키게 하는 변동성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가 발동된다. 변동성완화장치(VI)는 정적VI와 동적VI 두 가지가 존재하며, 발동가격 조건을 만족시켜야 변동성완화장치(VI)가 발동한다. 1. 정적VI 정적VI는 시가가 결정되기 전에는 당일 기준가격 대비 10% 상승 또는 하락하거나 시가가 결정된 이후라면 직전 단일 가격 대비 10% 상승 또는 하락 했을 때 .. 해외선물 지표 발표 사이트(원유재고, 천연가스 재고 등) 해외 지표 발표 해외 주식, 해외선물을 거래하는 국내 투자자가 많아지고 있다. 주식이나 선물의 움직임은 해당 국가의 정치,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일정 기간마다 발표하는 지표는 주식ㆍ파생상품 시장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어느 기관에서 언제 발표를 하고 해당 지표는 시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모르는 투자자가 많다. 이러한 지표들을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인베스팅닷컴이다. 인베스팅 닷컴 사이트에 접속하면 기본이 영문으로 나오는데 오른쪽 상단에 국기 버튼을 누르면 다양한 국가가 나오고 태극기를 선택하면 한글로 번역된다. 사이트 상단에 경제 캘린더가 있다. 경제 캘린더에 들어간다. 경제 캘린더 경제 캘린더 안에는 경제 캘린더, 휴일, 실적, 배당, IPO, 만기가 나온다... 주택임대차보호법_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 소식으로 뜨거웠다. 정부 발표는 해당 개정안이 임대인과 임차인의 균형 잡힌 권리관계로 재정립이라고 한다. 도입된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를 알아보고 효과는 얼마나 있을지 생각해봤다. 계약갱신요구권 계약갱신요구권은 말 그대로 계약 갱신을 요구하는 것인데 임차인이 원할 경우 임대인에게 1회에 한하여 갱신 청구할 수 있는 권리다. 기존 전세나 월세로 주택을 계약하면 임대차보호법에 의해 2년까지 주거가 가능하고 임대차 종료되기 6개월~1개월 안에 갱신계약 유무에 대한 의사를 표현해야 한다. 만약 기간 안에 임대인, 임차인 중 어느 누구도 계약의 연장 유무에 대한 의사표시를 하지 않는다면 묵시적 갱신이 이루어진다. .. 이전 1 2 3 4 5 다음